HTT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어로, 웹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정보 전송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은 주로 웹 페이지와 같은 리소스를 요청하고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1989년 팀 버너스리(Tim Berners-Lee)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이후 여러 버전이 발전해 왔다.
HTT의 주요 기능은 클라이언트(예: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이에 대해 응답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HTTP 요청은 메서드, URL, 헤더 및 선택적 본문으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GET, POST, PUT, DELETE와 같은 메서드가 사용된다. GET 메서드는 리소스의 검색에 사용되고, POST 메서드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HTTP는 무상태 프로토콜로, 각 요청이 독립적이며 이전 요청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무상태 특성 때문에 세션 관리를 위해 추가적인 기술(예: 쿠키, 세션 토큰 등)이 필요하다.
HTTP/1.1, HTTP/2, HTTP/3 등 다양한 버전이 존재하며, 각 버전은 성능과 보안 기능이 개선되었다. HTTP/2는 멀티플렉싱, 헤더 압축 등의 기능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키고, HTTP/3는 QUIC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안정성과 속도를 더욱 강화하였다.
보안 측면에서 HTTP는 암호화되지 않은 통신을 제공하므로, 민감한 정보를 전송할 때는 HTTPS(HTTP Secure)를 사용하여 SSL/TLS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를 암호화해 보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