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신(肺心)은 호흡기계와 순환계의 연관성을 강조하는 의학적 개념으로, 폐의 기능 저하가 심장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용어다. 주로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이나 만성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발생하는 심장 기능의 변화를 지칭한다. 이러한 폐 질환은 산소 포화도를 낮추고, 이로 인해 심장은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하므로 심장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폐신의 주요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피로감, 가슴 통증, 부종 등이 있다. 이러한 증상은 폐의 기류 제한과 심장의 비대 또는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폐신이 진행될 경우, 오른쪽 심실이 비대해지거나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생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진단은 주로 환자의 병력 청취와 신체 검사를 통해 진행되며, 추가적으로 폐 기능 검사, 심전도, 심초음파 등의 검사가 요구될 수 있다. 폐의 기능 저하 정도와 심장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치료 방침을 결정한다. 이 과정에서 호흡기 전문가와 심장 전문의의 협력이 중요하다.
치료는 주로 원인 질환을 관리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COPD와 같은 기저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면 폐신의 증상도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산소 치료나 약물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심신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재활 프로그램도 고려해야 한다. 예방적 접근과 조기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폐신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