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판막증(心臟瓣膜症, valvular heart disease)은 심장 내 판막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심장에는 네 개의 주요 판막이 있으며, 이들은 혈액이 심장의 방을 지나면서 올바른 방향으로 흐르도록 돕는다. 이 판막들은 왼쪽 심장에 위치한 승모판과 대동맥판, 오른쪽 심장에 있는 삼첨판과 폐동맥판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심장판막증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첫 번째는 판막이 좁아지는 협착증(stenosis)이며, 두 번째는 판막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혈액이 역류하는 폐쇄부전(regurgitation)이다. 협착증은 판막이 경직되거나 두꺼워져서 혈액의 흐름이 제한되는 경우를 의미하며, 폐쇄부전은 판막의 이상으로 인해 혈액이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되돌아가는 현상을 일으킨다.
심장판막증의 원인은 다양하다. 선천적 이상, 심장관상동맥질환, 류머티즘열, 감염성 심내막염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질환들은 심장판막의 변화를 초래하여 기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증상은 판막의 손상 정도 및 유형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피로, 호흡곤란, 심장 두근거림, 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흉통이나 실신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 기관을 방문하여 진단을 받아야 한다.
진단은 주로 심장 초음파 검사, 심전도, 흉부 X선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심장 초음파 검사는 판막의 구조 및 기능을 평가하는 데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치료 방법은 증상과 판막의 손상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경미한 경우 약물 요법으로 증상을 관리할 수 있지만, 중증일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수술에는 손상된 판막을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최근에는 심장판막 질환 치료에 도움을 주는 최소 침습 수술 방법들이 발전하고 있다.
예방은 원인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적절한 생활 습관을 통해 심장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심장판막증의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