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정원(承政院)은 조선시대의 중앙 행정 기구 중 하나로, 왕의 명을 수행하는 직무를 담당하였다. 조선 왕조의 초기에 설립되었으며, 궁중의 비서 기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승정원의 주된 기능은 왕의 명령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것이었으며, 그 외에도 정책의 수립 및 집행에 관여하였다.
승정원은 왕의 측근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승정원 지사는 승정원의 수장으로서 왕에게 직접 보고를 하였다. 승정원 직원들은 주로 학식이 높은 관리들로 구성되었고, 이들은 왕과의 가교 역할을 하여 정책의 실행과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했다. 승정원은 또한 국가의 문서 관리와 기밀 사항을 처리하는 임무도 맡고 있었다.
기원적으로 승정원은 조선 태조 때 설립되어, 세종 대왕 때에는 더욱 체계화되었다. 그 후에도 승정원은 조선시대의 정치적 변화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임진왜란과 같은 큰 사건에도 중요한 행정 기능을 유지하였다.
승정원은 후에 다른 행정 기구들과의 통합 및 변화를 겪으면서 관찬(官撰) 체제와 함께 조선 정부의 핵심 기관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1894년 고종의 개혁 조치인 갑오개혁에 의해 승정원은 폐지되었으며, 그 역할은 이후의 새로운 행정 조직에 통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