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오는 1894년에서 1896년 사이에 일어난 한국의 역사적 사건으로, 조선 왕조 말기에 발생한 개혁 운동을 총칭한다. 이는 청일 전쟁의 배경 속에서 전개된 사회, 정치, 경제의 근대화 및 개혁을 목표로 했다. 갑오년이라는 명칭은 해당 사건이 발생한 해가 음력 갑오년이었기 때문에 붙여졌다.
갑오개의 기본적인 목적은 조선 사회의 부패와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외세의 압박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 체제를 개편하는 것이었다. 이 운동은 주로 지식인과 개화파의 주도로 진행되었으며, 이들은 서구의 근대적 이념을 도입하고자 했다.
갑오개혁의 주요 내용으로는 과거 제도의 폐지, 관리의 임명제 개편, 세금 제도의 수정, 교육제도 개선, 새로운 법령 제정 등이 있다. 특히, 갑오개혁으로 인해 발효된 '홍범 14조'는 조선의 근대적 정치 체계 수립을 위한 기본 법률로 볼 수 있다. 이는 국민의 인권을 강조하고, 군주 중심의 전통적 정치 체제를 약화시키려는 시도로 평가된다.
갑오개혁은 일차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지만, 사회 각층의 저항과 갈등을 초래하기도 했다. 당시의 보수적인 세력과 농민들은 이러한 변화에 반발하였고, 이는 1894년 동학농민운동으로 이어졌다. 결국 갑오개혁은 한계를 드러내게 되었으며, 1895년 고종이 을미사변으로 인해 다시 권력을 잃게 되면서 개혁의 방향도 크게 바뀌었다.
갑오는 한국 근대사의 중요한 전환점을 나타내며, 이후 일제 강점기와 현대 대한민국의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