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 대비 국방비 3%'는 국가의 총 국내 생산(GDP)에 비례하여 국방비를 설정하는 기준 중 하나로, 특정 국가가 자국의 방어 및 군사력 강화를 위해 GDP의 3%를 국방 예산으로 할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비율은 국가의 군사적 필요, 안보 상황, 지역적 긴장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국방비를 GDP에 대비해 일정 비율로 설정하는 것은 국가의 경제적 여건과 군사적 요구를 동시에 고려하는 방식이다. GDP 대비 국방비의 증가는 보통 국방력 강화를 위한 정책적 의지를 반영하며, 외부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로 해석될 수 있다. 반대로, 국방비가 GDP에 대한 비율로 감소하거나 일정 수준에 머무르는 경우, 이는 국가의 외교 정책이나 군사 전략에 변화가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국제적으로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같은 군사 동맹이 GDP 대비 국방비 기준을 설정하고 있으며, NATO 회원국들은 이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NATO는 회원국들에게 GDP의 2%를 국방비로 지출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준은 군사적 협력과 공동 방어 의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GDP 대비 국방비가 3%인 국가는 해당 비율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 예산에서 우선적으로 국방 관련 지출을 조정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교육, 사회 복지 등의 다른 분야에 대한 재정 지원이 줄어들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국방과 다른 사회적 필요 간의 균형을 찾는 데 있어 끊임없이 논의되는 주제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