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재불우(會齋不遇)는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시인인 정철(鄭澈, 1536-1593)이 남긴 시 중 하나로, 그의 고백적 성격이 강한 작품이다. 이 시는 정철이 자신의 삶과 고뇌, 사회적 상황에 대한 불만을 표현한 것으로, 특히 그가 겪은 불행과 회한을 담고 있다. “회재”는 "모임"이나 "모임의 자리"를 뜻하고, “불우”는 "불행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회재불우는 한자 그대로 해석하면 "모임의 자리에서 불행함"이라는 뜻이 된다.
정철은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유학자로서, 그의 시는 주로 자연과 인간, 그리고 자신의 내면을 주제로 한다. 회재불우는 그런 시적 전통을 따르면서도 개인적인 감정을 더욱 깊이 있게 표현하고 있다. 정철은 이 시에서 자신의 재능이 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외로움과 상실감을 느끼는 모습을 드러낸다. 이는 그가 겪은 다양한 정치적 고난과 개인적 비극에 기인한 것으로, 그의 삶에 대한 심오한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회재불우는 정철의 시가 당대의 정치 상황과 개인적 경험을 어떻게 결합하는지를 잘 보여준다. 시의 구조와 언어는 고전적인 아름다움을 띠고 있으며, 각 구절마다 깊은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특히 자연을 통해 인간의 감정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은 그의 다른 작품들과 유사점을 찾아볼 수 있다. 시인은 이러한 고백을 통해 자신이 처한 현실과의 단절을 느끼며, 결국 관념적인 고뇌에 이르게 된다.
회재불우는 한국 문학사에서 정철의 시를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그의 문학적 유산을 나타내는 중요한 예시로 기능한다. 이 작품은 개인의 정서를 넘어, 당대 한국 사회의 정치적, 사회적 갈등과 불행을 반영하고 있어 문학적 가치가 높다. 정철의 고백적 시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공감과 감동을 주며, 한국 문학의 깊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