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몬(洪水門)은 한국의 전통적인 악기 중 하나로, 주로 국악의 연주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나무로 제작되며,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존재한다. 홍수몬은 관악기의 일종으로, 특유의 맑고 깊은 음색을 발산하며, 보통 길고 넓은 관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홍수몬은 한국의 전통 음악에서 주로 사용되는 여러 가지 변주곡과 민속 음악에 활용되며, 풍부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 덕분에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서 큰 역할을 한다. 특히, 정악(正樂)이나 민속악에서 주요 멜로디를 연주하는 데 사용된다. 역사적으로, 홍수몬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왕실 음악과 제례 음악에서도 중요한 악기로 자리 잡았다.
악기 자체는 숨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연주자는 입술의 형태와 숨의 세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음색과 음정을 만들어 낸다. 홍수몬은 그 연주 방식이 단순하지만, 연주자의 기량에 따라 다양한 표현력을 발휘할 수 있어 국악의 다채로움을 더하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현재도 많은 국악 단체와 개인 연주자들이 홍수몬을 연주하며, 전통 음악의 계승과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이를 통해 홍수몬은 한국의 문화유산으로서 그 가치를 계속해서 인정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