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모수는 한국의 전통 신화와 민속에서 등장하는 인물로, 한국의 시조인 단군신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해모수는 단군의 아버지인 환인의 신화적인 형상으로, 주로 하늘의 신으로 묘사된다. 그의 이름은 '바다에서 태어난 모수'라는 의미를 가지며, 이는 해양과 관련된 신성한 존재로서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해모수는 그리운 고향인 바다에서 여신과 결혼하여 많은 자녀를 두어 한국 민족의 시조로 여겨진 단군을 낳았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이와 같은 전승은 해모수가 한국의 고대사회에서 조화와 균형을 상징하는 역할을 했음을 나타낸다. 해모수의 전설은 한국의 창조 신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신화 속에서 인간과 신의 경계를 넘나드는 인물로서 중요한 상징성을 지닌다.
해모수와 같이 하늘의 권능을 가진 신들은 고대 한국 사회에서 자연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에 관한 이야기들은 한국의 구술 문학과 전통 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전통은 현재까지도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 재조명되고 있으며, 해모수는 한국 신화에서 지속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 인물로 자리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