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상감 국당초문 자라병은 고려 시대의 대표적인 청자 공예품 중 하나로, 그 독창적인 디자인과 뛰어난 기법으로 높은 예술적 가치를 지닌다. 이 자라병은 주로 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초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병의 형태는 둥글고 안정감 있는 바닥에, 넓은 목을 가진 특징이 있다. 외형은 매끈하고 고운 청자질감으로 마감되어 있으며, 색상은 전통적인 청자색인 청록색을 띤다. 상감 기법은 병의 표면에 다양한 무늬를 담아내는 기법으로, 이 자라병에는 국당초문이 장식되어 있다. 국당초문은 식물 모티브 중 하나로, 국화와 당초 등을 변형하여 표현한 것으로, 부드러운 곡선과 화려한 비율이 돋보인다.
상감 기법은 청자 표면에 미세한 패턴을 파내고, 그 자리에 백토를 채워 넣어 대조를 이루는 방식으로, 이는 고려 시대 장인의 뛰어난 기술을 나타낸다. 자라병이라는 이름은 병의 형태가 자라를 연상케 하는 데에서 유래한다. 이와 같은 형태는 한국 전통 도자기에서 사랑받는 디자인으로, 세련된 미적 감각을 드러낸다.
청자상감 국당초문 자라병은 그 시대의 문화와 예술을 형상화한 대표작으로서, 고고학적 가치와 미적 가치 모두를 지니고 있으며, 현재도 많은 연구와 감상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청자 공예품들은 고려 시대의 생활상과 미적 이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