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은 한국의 전통 도자기 중 청자의 일종으로,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청자는 청색을 띠는 도자기로, 주로 고온에서 굽고 유약을 사용하여 유광을 내는 특징을 가진다. 상감기법은 도자기 surface에 모양을 새긴 후, 그 자리에 다른 색의 점토를 채워 넣어 디자인하는 기법으로, 이로 인해 복잡하고 아름다운 문양이 나타난다.
용봉모란문은 용과 봉황을 주제로 한 문양으로, 전통적으로 부와 행복, 길함을 상징하는 요소로 여겨진다. 이러한 문양은 주로 왕실이나 귀족을 위한 도자기에 사용되며, 권위 있는 상징으로 자리 잡아왔다. 합은 그릇의 뚜껑이 있는 형태로, 일반적으로 음식이나 물건을 보관하는 데 사용된다. 탁은 낮은 높이의 접시나 그릇을 의미하며, 음식이나 음료를 담는 용도로 활용된다.
이 작품은 섬세한 문양과 색상이 강조되어 있으며, 전통적인 한국 도자기의 아름다움을 잘 보여준다. 고려 시대의 도자기 기술과 미적 감각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높다. 현재는 국내외 박물관 및 개인 컬렉션에 전시되고 있으며, 한국의 도자기 제작 기법과 역사에 대한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