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고(대월)는 한국의 전통 음식 중 하나로, 주로 찹쌀가루를 주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떡의 한 종류이다. 진고는 주로 명절이나 특별한 날에 감상하며, 그 자체로 간식으로 즐기거나 차와 함께 제공된다.
진고는 찹쌀가루를 물에 불린 뒤, 이를 찌거나 삶아 쫄깃하고 부드러운 식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고물로는 팥과 같은 단백질이나 고소한 견과류가 사용되며, 이를 통해 더 깊은 맛과 영양을 더한다. 진고는 달콤한 맛이 특징인데, 이는 고물 속의 설탕이나 꿀이 주는 달콤함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진고는 여러 형태로 만들어지며, 원주율이 다양하고 색색의 고물로 장식되기도 한다. 특히 지역에 따라 진고의 이름이나 만드는 방법이 상이할 수 있는데, 이는 각 지역의 문화적 배경과 재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진고는 또한 세시풍속과 관련이 깊어, 설날이나 추석 등의 명절에는 반드시 만들어서 조상에게 바치는 제사의 일환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관습은 조상의 은혜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여겨진다. 또한 진고는 가족과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음식으로도 자리 잡고 있다.
현대에 들어서 진고는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지며, 새로운 맛과 재료가 시도되고 있다. 이는 전통 음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다양한 재료와 조리법으로 만들어진 진고는 현대인들에게 색다른 맛을 제공하며 여전히 사랑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