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룡(地龍)은 전통적인 한국 신화와 민속에서 등장하는 전설적인 생물이다. 지룡은 '땅의 용'이라는 의미를 지니며, 일반적으로 흙과 관련된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 생물은 대개 물의 신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농업과 관련된 신앙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지룡은 주로 비를 내리는 역할을 하며, 농작물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졌다. 이 때문에 지룡은 농민들에게 기우제를 지내거나 비나 내리기를 기원하는 대상이 되었다. 특히, 가뭄이 지속될 경우 지룡을 불러오기 위한 여러 의식이 행해지기도 했다.
지룡의 외형은 대개 용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다른 전설의 용들과는 달리 땅속에 살며 지하수나 강줄기와 연결되어 있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전통적인 예술작품이나 문헌에서 지룡은 종종 길고 날씬한 몸체와 소용돌이처럼 휘어진 꼬리를 가진 모습으로 나타난다.
지룡의 신화적 기원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역사적으로 아시아 전역에서 유사한 개념의 생물이 존재하며, 이는 자연의 힘을 인격화하거나 신격화하는 과정에서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현대 한국에서는 지룡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전통문화와 민속 신앙의 일부로 기억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