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궁(正宮)은 조선시대 왕비가 거주하는 궁전으로, 왕의 주거공간인 경복궁 내에 위치해 있다. 정궁은 왕비의 위상을 강조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공간으로, 왕과 왕비의 공식적인 생활이 이루어지는 장소였다. 정궁은 왕실의 위엄을 나타내는 중요한 건축물이며, 당시의 건축 기술과 예술이 응축된 예시이기도 하다.
정궁은 조선의 제1대 왕인 태조 이성계가 세운 경복궁의 일부로, 처음에는 고궁의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이후 여러 왕조를 거치며 정궁의 구조와 배치에는 변화가 있었지만, 왕비의 안식처로서의 기능은 지속됐다. 정궁의 구조는 주거 공간과 의식 공간으로 나뉘며, 왕비가 생활하는 다양한 혼례식과 의례가 이루어졌다.
정궁의 건축 양식은 조선 시대의 전통적인 건축 양식을 따른다. 대청과 온돌방, 마루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담한 정원과 함께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이 특징이다. 또한, 정궁 내의 장식적인 요소들은 조선의 유교적 가치관을 반영하며, 왕비의 위엄과 미덕을 강조하는 역할을 했다. 정궁에 대한 각종 기록과 문서들은 조선 시대의 역사와 문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정궁은 단순한 거주 공간을 넘어 조선 왕조의 정치적, 사회적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다. 왕비는 정궁에서 국가의 중요한 결정에 영향을 미쳤으며, 왕의 정치적 동반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따라서 정궁은 조선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왕권과 가문의 연관성을 엿볼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정궁의 역사적 가치와 문화유산으로서의 중요성은 현재에도 학계와 일반인들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