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회(輪廻)는 조선 시대 불교에서 중시된 개념으로, 생사윤회를 이야기한다. 이는 생명체가 죽음 이후에 다시 태어나는 과정을 의미하며, 윤회는 인간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체에 적용된다고 여겨진다. 윤회는 불교의 근본 교리 중 하나로, 각 생명체는 자신의 업(業)에 따라 다음 생의 형태가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조선 시대에는 불교가 국가의 공식 종교로 수용되지 않았지만, 여전히 민중 사이에서 불교의 영향은 컸다. 따라서, 윤회 개념은 조선 사회의 사상과 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불교의 윤회론은 사람들에게 도덕적 삶을 강조하고, 인과법칙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여, 보다 나은 다음 생을 위한 선행을 장려하는 역할을 했다.
또한, 윤회와 관련된 다양한 의식과 풍습이 조선 사회에서 실천되었다. 재래식 제사나 조상 숭배의 관습은 조선에서 널리 퍼져 있었으며, 이는 윤회 개념과 깊은 관련이 있다. 사람들은 조상이 환생하여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었고, 그로 인해 조상을 기리는 것이 윤회를 통해 좋은 업을 쌓는 방법이라고 여겼다.
결국, 윤회는 조선 시대의 불교적 사상과 사회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생명과 존재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며 개인의 도덕적 삶을 중시하는 태도 형성에 기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