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군장은 한국의 전통적인 군사 제도로, 군사 작전에 필요한 인력을 모집하고 배치하는 역할을 한다. 주로 전투가 발생했을 때 추가적인 병력을 확보하기 위해 시행되며, 역사적으로 여러 왕조에서 사용되었다. 원군장은 특정 지역이나 부대에서 전투가 끈질기거나 군 사정이 어려울 때 필요한 인력을 보충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요청하는 과정이다. 이 제도는 전투의 효율성을 높이고, 국가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이었다.
원군장은 통상적으로 왕이나 장군의 명령에 따라 이루어지며, 필요한 인원 수와 자원은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병사들은 지역 주민들 중에서 선별되며, 이 과정에는 군사 훈련을 받은 사람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포함될 수 있다. 군사적 필요에 따라 이들은 일시적으로 군에 소속되거나, 지정된 기간 동안 군 복무를 하게 된다. 원군장의 목적은 전투에 필요한 병력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충원하는 것이었다.
한국의 역사에서 원군장은 여러 전쟁과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외적의 침략에 대응하기 위해 원군장이 빈번히 실시되었다. 이를 통해 기존 군대의 병력을 보충하고, 지역 주민들을 군사 작전에 참여시키는 방식으로 전투에서의 승리 확률을 높였다. 이러한 과정은 지역 사회와 군대 간의 유대를 강화하는 데도 기여하였다.
그러나 원군장은 그 자체로 문제점도 안고 있었다. 지역 주민들이 전투에 참여하는 것은 그들의 생명과 재산에 큰 위협이 되었으며, 전투에서의 패배는 그들에게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원군장에 참여한 병사들의 훈련 부족이나 사기 저하 등의 문제도 종종 발생하였다. 이런 이유로 원군장은 군사 전략에서 중요한 요소이면서도, 항상 신중하게 다뤄져야 할 제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