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원서로(龍圓書路)는 한국의 전통적이고 역사적인 서신 교환 방식으로, 주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사용되었다. 이 방식은 왕이나 고위 관료들 사이에서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고유한 양식과 언어 사용이 특징이다. 용원서로는 왕의 명령이나 중요한 정치적 사건, 외교적 협의 등에서 사용되며, 그 내용은 대개 비공식적인 통신 뿐만 아니라 공식적인 문서에도 해당되었다.
용원서로는 전통적인 서신 작성 방식과 유사하지만, 그 형식과 내용은 특정한 규칙과 예절을 따랐다. 서신의 시작과 끝에 사용하는 인사말, 본문의 전개 방식, 서명 및 날짜 기입 방식 등이 정해져 있어, 이러한 요소가 조화를 이루어야 했다. 특히, 용원서로는 왕실의 권위를 강조하기 위해 극히 신중하게 다루어졌으며, 발신자와 수신자 간의 관계 및 지위에 따라 표현 방식이 달라졌다.
이 서신의 주요 목적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치적 연합, 외교적 협상 및 독립적인 의견 교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또한, 용원서로는 당대의 정치적 상황과 사회적 이슈를 반영하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 평가받기도 한다. 이러한 서신은 후에 역사학자들에게 당시의 정치적, 사회적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참고 문헌이 되었다.
용원서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와 진화를 겪었으며, 그 사용 빈도도 적어지게 되었다. 특히 현대에 들어서는 전통적인 서신 방식이 아닌 전자적인 소통 수단이 대세가 되면서, 용원서로와 같은 전통적인 방식은 점차 잊혀져 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원서로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 속에서 중요한 자리매김을 하고 있으며, 전통 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귀중한 자료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