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명부(外命婦)는 조선 시대와 그 이전 한국의 전통 사회에서 사용된 용어로, 남자의 집안에 사는 외부의 여성 즉, 시집온 며느리를 가리킨다. 외명부는 일반적으로 시집에 들어온 후 남편의 가족과 생활하며, 시부모 및 기타 친인척과의 관계 속에서 그 역할이 정해졌다.
외명부의 주요 역할은 가사와 자녀 양육을 포함한 가족의 일상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며, 남편의 의사와 가족의 명망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시되었다. 외명부는 남편의 집안에 더 깊이 뿌리내리기 위해 가족 구성원들과의 관계를 조화롭게 유지하고, 효도와 순종을 미덕으로 여겼다.
조선시대에 외명부는 남성 중심의 사회 구조 속에서 여성의 위치와 역할을 반영하며, 양반 가문에서는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이런 사회적 역할 때문에 외명부는 일상적 권한이나 재산에 관한 결정권이 제한되었고, 대개 가문 내에서의 입지와 권력은 남편이나 그의 가족에 의해 결정되었다.
외명부의 개념은 현대의 여성 지위와 권리와는 대비되는 양상으로, 조선 후기에는 외명부의 위치와 권한을 둘러싼 논의가 진행되기도 했다. 전통적인 외명부는 시댁에서의 지위나 사정에 따라 상이하게 존재했으며, 이러한 특성은 오늘날까지도 한국의 가족 구조와 여성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