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燕巖)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 그리고 작가인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의 호(號)이다. 본관은 반남(潘南)이며, 자(字)는 중미(仲美)이다. 그는 박중미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평생동안 학문과 문학 활동에 열중하였고, 북학파(北學派)의 대표적인 인물로 손꼽힌다.
연암은 실학(實學) 사상가로서 조선 후기 사회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그가 활약했던 시기는 조선의 경제적, 사회적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던 시기로, 연암은 이러한 변화 속에서 민생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그는 청나라에 다녀와서 쓴 '열하일기(熱河日記)'를 통해 청나라의 발전된 문물을 소개하고 조선의 발달에 기여하고자 했다.
문학 작품으로는 '호질(虎叢)', '양반전(兩班傳)', '허생전(許生傳)' 등이 있다. 이러한 작품들에서 그는 당시의 사회 모순과 부조리를 비판하였고, 현실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연암의 작품은 독창적인 문체와 해학적 요소로 후대에 이르기까지 큰 영향을 미쳤다.
연암 박지원은 사람과 사물의 본질을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탐구 정신과 더불어, 이를 통찰력을 갖춘 문장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뛰어났다. 그의 학문적 태도와 문학적 성취는 당시와 후대의 많은 학자와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