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우이량(牛耳良)은 한국의 전통음악 중 하나로, 주로 판소리와 함께 불리는 창의 한 형태이다. 이 음악 장르는 주로 농민들이나 하층민들 사이에서 전해져 내려오면서 그들만의 정서를 담아왔다. 어우이량은 '소의 귀에서 나는 노래'라는 뜻으로, 소들의 울음소리와 인간의 감성을 접목시킨 창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창법은 대체로 자연의 소리에서 영감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그러한 요소가 오늘날까지도 평가받고 있다.
어우이량은 대개 구술 형태로 전해지며, 구술자나 연주자의 즉흥성이 큰 특징이다. 즉, 각 연주자마다 표현 방식이 달라질 수 있어 개별적인 감정이나 상황에 따라서도 내용이 바뀔 수 있다. 대개 간단한 멜로디와 반복적인 구성을 가지고 있어 듣는 이가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어우이량은 생업과 관련된 테마를 다루며, 농사나 일상생활에서 느낀 고난과 기쁨을 담은 이야기가 많다.
어우이량의 전파는 주로 구술문화의 형태로 이루어졌고, 지역 공동체의 문화적 행사나 축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때문에 특정 지역의 전통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변형들이 존재하며, 각 지역의 고유한 표현 방식이 나올 수 있었다. 특히, 전통 마을의 농사일이나 소를 돌보는 과정 등에서 자주 불리며, 공동체의 결속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
최근 들어 어우이량은 한국 전통문화의 보존과 계승을 위해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공연 예술의 형태로 재창조되거나 현대적인 요소와 결합하여 새로운 해석이 시도되고 있다. 이런 방식은 어우이량이 단순한 민속음악을 넘어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지니게 하여, 차세대에게 그 의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