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구라는 조선시대의 시가 형식 중 하나로, 일정한 운율과 구조를 가진 시를 일컫는다. 이 용어는 ‘어(語)’와 ‘구(句)’의 합성어로, 문장이나 구절을 통해 감정이나 생각을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둔다. 어구라는 보통 4구 이상의 연으로 구성되며, 각 구는 일정한 리듬과 음수율을 유지한다.
어구라는 주로 자연, 인간의 감정, 사회 현상 등을 주제로 하여, 깊이 있는 사유와 정서를 담아내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시가는 대개 시적 상상력과 비유가 풍부하여, 감정의 미묘함을 잘 전달한다.
역사적으로 어구라는 조선 중기부터 후기에 걸쳐 다양한 변화를 겪으며 발전하였다. 이 시형식은 여러 문인들에 의해 다루어졌으며, 그들의 작품 속에는 고유의 음악성과 함께 독특한 민속적 요소들이 스며들어 있다. 어구라는 종종 가사나 서사시와 함께 사용되며, 한국 전통 음악과의 결합으로 인해 더욱 큰 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어구라는 이러한 특성 덕분에 한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후대의 문학작품에도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