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봉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간식으로, 쌀가루와 물로 만든 반죽을 바삭하게 튀긴 후, 설탕 등의 재료로 만든 시럽이나 소스를 곁들인 음식이다. 주로 명절이나 특별한 날에 즐겨 먹으며, 그 이름은 '애'와 '봉'의 합성어로, '사랑하는'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애봉이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며, 그 모양과 맛 또한 다를 수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팥이나 견과류를 넣어 속을 채운 형태로도 만들어지며, 더 고소한 맛을 위해 콩가루를 뿌리기도 한다.
그 전통적인 조리법은 필수적으로 쌀가루를 물과 섞어 반죽을 만들고, 기름에 튀기는 과정이 포함된다. 튀겨낸 애봉이는 바삭한 식감과 함께 달콤한 소스가 어우러져 독특한 맛을 제공한다.
애봉이는 오늘날에도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는 간식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길거리 음식으로도 자주 제공된다.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간식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으며, 체험 행사나 문화축제 등에서도 자주 등장해 그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