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홍(神道洪)은 한국의 전통적인 민속 신앙의 일환으로, 신과 관련된 기도를 통해 복을 구하는 행사 또는 의식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신도"라는 말과 "홍"이라는 접미사로 구성되어 있는데, "신도"는 신을 뜻하고 "홍"은 흐름이나 큰 물결을 상징하여 신의 힘이나 기운이 넘치는 상태를 나타낸다.
신도홍은 주로 마을 단위에서 이루어지며, 특정한 주제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농사의 풍요, 가정의 안전, 자녀의 성장 등 다양한 소원을 담아 기도가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민속 무속인의 주도로 여러 가지 제사 의식과 기도를 통해 신의 뜻을 구하고, 공동체 구성원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신도홍은 또한 지역에 따라 다소 다른 형태를 띠기도 하고, 특정한 인물이나 신령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의식은 대개 음력 날짜에 맞춰 이루어지며, 전통 음악과 춤, 제물을 바치는 행사가 함께 진행된다.
신도홍은 현대에 들어서도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며, 다양한 연구와 문헌을 통해 그 의미와 중요성이 지역사회에서 계속해서 재조명되고 있다. 민속신앙의 복원 및 계승을 위한 노력은 여전히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