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서는 조선시대의 한자 보고이며, 주로 문서나 서적을 작성할 때 쓰인 서체를 의미한다. 송서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송'이라는 이름을 붙인 중국의 송나라(960-1279년)의 서체를 가리킨다. 송서는 그 구조가 간결하고 균형 잡힌 형태로,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특히, 송서의 글자는 읽기 쉽고 쓰기 편리하여 상업적 문서나 신문의 인쇄체로 많이 채택되었다.
송서는 기본적으로 '행서'와 '초서'의 중간 형태로 이해할 수 있다. 행서는 편안하게 쓸 수 있는 글씨체이며, 초서는 빠르게 쓰기 위해 만들었지만 읽기 어려운 점에서 송서와 차별화된다. 송서가 가지는 특유의 깔끔한 선과 조화로운 비율은 이후 세대에서도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점에서 송서는 조선시대 의사소통의 주요 방식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송서는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변형과 발전을 겪었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서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송서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체들이 등장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명조체'나 '고딕체'같은 현대적인 서체가 발전하면서 송서의 특징을 지속적으로 계승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 서체들은 송서의 기본적인 미적 요소를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상황에 맞게 적용될 수 있도록 발전해 나갔다.
현재 송서는 인쇄체로서의 중요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 특히 한글과 함께 사용되는 송서는 한자와 한국어를 혼합하여 표기하는 데 효과적이다. 한국의 문화와 역사 속에서 송서는 단순한 서체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며, 한국의 서예 문화와도 깊은 연관이 있다. 송서를 통해 사람들은 깊은 서예 기술과 문화를 이해하게 되고, 잊혀져 가는 전통을 계승해 나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