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는 특정 기간 동안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경제 지표이다. 이 지수는 경제의 인플레이션, 즉 물가 상승률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일반적으로 특정 기준 연도의 물가를 100으로 설정하고, 그 이후의 물가 변화를 상대적인 수치로 나타낸다.

CPI는 특정 가계의 소비 패턴을 반영한 바구니(Basket of Goods)에서 선택된 다양한 품목들로 구성된다. 이 바구니에는 식료품, 주거비, 교통비, 의료비, 교육비 등 소비자의 일상 생활에 밀접한 다양한 품목들이 포함된다. 각 품목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고, 이들을 가중 평균하여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를 산출한다.

소비자물가지수는 경제 정책 결정, 임금 협상, 사회 보장 제도의 조정 등에서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된다. 또한, CPI는 명목소득과 실질소득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인플레이션이 높아지면 명목소득은 증가할 수 있지만, 실질소득은 구매력의 감소로 인해 줄어들 수 있다.

각국의 통계청 또는 중앙은행이 정기적으로 CPI를 발표하며, CPI의 변화는 경제 상태의 지표로 해석된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물가지수의 상승은 인플레이션을 나타내고, 하락은 디플레이션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