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론(小論)은 조선시대의 정치적 분파 중 하나로, 주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한 정치 세력을 일컫는다. 조선시대에는 대론과 소론으로 나뉘어 정치적 갈등이 심화되었으며, 소론은 주로 온건파로 알려져 있다.
소론은 주로 성리학의 해석에 있어서 유교적 가치와 현실 정치의 조화를 중시하였다. 이들은 대체로 중간적인 입장에서 정책을 제안하고, 과거 시험을 통해 선발된 인재들을 통해 관직을 차지했다. 소론은 또한 농민이나 소상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외척 세력과의 결탁을 경계하는 등의 정책을 주장하였다.
소론은 명목상으로는 성리학의 확립을 지향했지만, 실제로는 정치적 이익을 위해 다양한 세력과 연합하거나 대립하는 복잡한 역학 관계를 형성하였다. 이로 인해 소론 안에도 여러 소속 세력이 존재하게 되었고, 이는 후에 소론 내부의 분화로 이어졌다.
소론의 주요 인물로는 김장생, 윤휴 등이 있으며, 이들은 국가의 정체성과 정치적 안정을 강조하며 소론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하지만 조선 후기에는 소론의 세력이 약해지고, 영정조와 정조 대에 이르러 상대적으로 그 영향력이 감소하게 되었다.
결국 소론은 조선시대의 정치적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그 이념과 활동은 이후 한국의 정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