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하는 한국 전통 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명절로, 보통 음력 1월 1일에 해당한다. 이 날은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날로, 가족과 친지들이 모여 조상을 기리고 새해의 건강과 복을 기원하는 다양한 전통 의식이 진행된다.
설하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세배이다. 세배는 어른에게 새해 인사를 하는 예절로, 보통 무릎을 꿇고 깊이 고개를 숙여 인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세배를 마친 후에는 어른들로부터 세뱃돈을 받는 경우가 많다.
이 날은 또한 전통 음식인 떡국을 먹는 관습이 있다. 떡국은 가래떡을 썰어 넣고 만든 국으로, 이를 먹어야 나이를 한 살 더 먹게 된다는 믿음이 있다. 떡국 이외에도 다양한 명절 음식들이 준비되며, 이는 지역과 가정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인다.
설하에는 또한 다양한 민속놀이와 풍습이 존재한다. 윷놀이, 제기차기, 팽이치기 등이 대표적인 민속놀이로, 가족과 이웃 간의 화합을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고향을 방문하거나 설을 맞이해 차례를 지내는 등의 관습이 있다.
현대 사회에서 설하는 여전히 중요한 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가족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조상의 은혜를 되새기는 기회로 여겨진다. 최근에는 도시화로 인해 전통적인 방식이 변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설하를 기념하며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