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수(序數, ordinal number)는 수학에서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를 의미한다. 서수는 항목의 위치나 순위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며, 주로 자연수의 집합에서 기인한다. 일반적으로 첫째, 둘째, 셋째와 같은 형태로 표기된다. 서수는 명사로서의 역할을 하며, 특정한 순서에 있는 대상을 지칭할 때 이용된다.
서수는 정수 집합에서 발달한 개념으로, 보통 'n번째'라는 형태로 표현된다. 여기서 'n'은 자연수이며, 'n번째'는 특정 항목의 위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셋째"는 세 번째 위치에 있는 대상을 가리킨다.
서수의 기호화는 통상적으로 영어 알파벳의 서수 기호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며, '1st', '2nd', '3rd'와 같이 표기된다. 이러한 기호는 각각 1번째, 2번째, 3번째를 의미한다. 서수는 비율이나 순위를 나타낼 때도 활용되며, 이러한 서수 개념은 수학적 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서수는 집합론과 순서론과 같은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수열, 그래프 이론과 같은 구체적인 응용에서도 필수적인 개념이다. 따라서 서수는 수학의 기초적인 개념 중 하나로, 수학적 사고나 문제 해결에 있어서 기본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