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로(새마을 운동의 일본어 명칭)는 한국의 전통적인 농촌 사회의 근대화를 목표로 한 사회 운동으로, 1970년대 초에 시작되었다. 이 운동은 당시 한국의 경제 상황과 사회적 필요에 의해 촉발되었으며, 주로 농촌의 생활 환경 개선과 생산성 향상에 중점을 두었다. 새마을 운동의 핵심 이념은 자립과 협동으로, 농민들이 스스로의 힘으로 마을을 발전시키고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새마을 운동은 '새마을'이라는 이름처럼 '새로운 마을'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포함했다. 이 운동의 일환으로, 주민들은 공동 작업을 통해 도로, 용수로, 학교, 보건소 등의 기반 시설을 정비하고 확장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는 농업 기술의 현대화와 자재의 효율적 사용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도 시행되었다. 이를 통해 농민들은 생산성을 높이고 소득을 증대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새마을 운동은 정부의 지원과 함께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졌다. 정부는 자금 지원, 기술 개발,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농촌 주민들에게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였으며, 주민들은 이러한 지원을 바탕으로 스스로의 마을을 개선하는 데 힘썼다. 이 운동은 한국의 농촌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이를 통해 지역 사회의 단결과 협동 정신이 강화되었다.
하지만 새마을 운동은 그 한계와 비판도 존재했다. 경제적 성과와 함께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되었고, 도시화와 이농 현상 또한 가속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특히, 일부 농촌 지역에서는 자원 배분의 불균형과 주민 간의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마을 운동은 한국 농촌의 발전과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 역사적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