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화(士禍)는 조선 시대에 발생한 정치적 사건으로, 주로 사대부 계층 간의 권력 다툼과 갈등으로 인해 발생한 불행한 사건을 가리킨다. 사화는 일반적으로 특정 사건이나 인물에 의해 촉발되며, 권력자들 사이의 긴장이나 대립이 극대화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사화는 조선 왕조 내에서 국가 운영의 혼란을 초래하고,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다.
사화의 주요 사례로는 기묘사화(1453), 을사사화(1545), 그리고 인조반정 이후의 사화들(17세기 중반 정부 내 권력 다툼) 등을 들 수 있다. 기묘사화는 세종의 둘째 아들인 단종을 지지하던 여전히 존재하던 세력과 그를 반대하던 수구 세력 간의 대립으로 인해 발생하였다. 이 사건에서는 많은 관련 인물들이 반역죄로 처형당하거나 유배되었다. 이러한 대립은 정권의 안정성과 국가의 발전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을사사화는 주로 명종의 후계자를 둘러싼 권력 다툼으로 인해 촉발됐다. 이 사건에서 명종의 외척인 윤임과 그의 지지 세력, 그리고 반대 세력 간의 갈등이 격화되면서 여러 사람들의 생명과 명예가 손상되었다. 이로 인해 정치적 불안이 지속되었고, 국가의 정책 및 사회적 발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화는 단순한 정치적 사건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조선 시대의 정치 구조와 사회 조직, 그리고 각 세력 간의 관계를 반영하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다. 사화는 또한 권력의 집중과 분산, 그리고 정치적 후견인과 지지 세력 간의 복잡한 역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렇듯 사화는 조선 역사에서 중요한 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당시 사회의 혼란과 갈등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기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