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는 조선시대 중기부터 후기에 걸쳐 제작된 한국의 전통 도자기 중 하나로, 주로 15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초반까지 생산되었다. 분청사기는 '분청'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표면에 백토를 덧칠하여 유약을 바르고 고온에서 구워낸 도자기로, 칠기나 나무 그릇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그릇들이 포함된다. 이 도자기는 그 당시의 문화적, 사회적 배경을 반영하며, 한국 도자기의 독특한 미적 감각을 보여준다.
분청사기의 특징은 주로 그 표면의 백토 처리에서 나타난다. 도자기의 본체에 백토를 덧발라 준 후, 그 위에 다양한 색상의 유약을 입혀 고온에서 구워내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 과정은 도자기의 분위기를 한층 더 풍부하게 만들어주며, 특히 은은한 색조와 질감으로 인해 많은 사랑을 받았다. 또한, 분청사기에 사용된 유약의 색상은 다양하여, 푸른색이나 녹색, 갈색 등의 다양한 톤이 있어 각기 다른 개성을 지닌 작품들이 존재한다.
분청사기는 그릇 외에도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음식의 담음새를 돋보이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그릇, 찻잔, 밀폐 용기 등은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었으며, 고유의 세련된 디자인 덕분에 왕실이나 귀족 계층에서도 높이 평가받았다. 그러나 분청사기의 제작이 단순히 실용적이기만 한 것은 아니며, 당시의 예술가들은 독창적인 디자인과 복합적인 문양을 통해 자신들의 개성과 창의성을 표현하려 했던 점이 특히 두드러진다.
분청사기는 이후의 한국 도자기, 특히 조선 후기의 청화백자와 같은 다른 도자기 스타일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시간이 지나면서 도자기의 스타일과 기법은 변화하였지만, 분청사기의 철학적이고 미학적인 요소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기억되고 있다. 오늘날에는 분청사기의 전통을 계승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며, 이는 한국 도자기의 정체성과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중요한 과정으로 자리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