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탑(無탑)은 한국의 대표적인 석조 유물 중 하나로, 주로 고려 시대에 세워진 불탑의 일종이다. 무탑은 일반적으로 탑이 아니라 기둥형태로 되어 있으며, 그 형태가 탑처럼 보이지 않기 때문에 "무탑"이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주로 불교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불교의 사상을 담고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평가된다.
무탑은 대개 작은 규모로 제작되며, 이로 인해 대형 불탑과는 구별된다. 보통 1층 또는 2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층마다 기둥을 세우거나 석재를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건축된다. 무탑의 주요 자재는 흔히 화강암이나 석회암이 사용되며, 탑의 전반적인 디자인은 지역적인 특성과 시대적인 영향을 받는다.
무탑의 주된 기능은 불교의 의식을 진행하거나 명상하는 장소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통해 불교의 교리를 널리 전파하고, 수행자들에게는 심리적 안정을 제공하는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무탑은 불교 미술의 한 요소로서도 중요하며, 그 조각이나 장식이 고유한 의미를 지닌 경우가 많다.
현재 무탑은 한국의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유명한 것은 강원도 인제에 있는 무탑이다. 이 무탑은 고려시대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어, 학문적 연구와 관광자원으로서 큰 가치를 지니고 있다. 무탑은 한국의 전통 불교 문화와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또한 보존과 관리가 필요한 귀중한 문화재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