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정자증

무정자증(無精子症, Azoospermia)은 남성의 정액에서 정자가 전혀 발견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남성 불임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전체 남성 불임 환자의 약 10-15%에서 발생한다. 무정자증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첫 번째는 동원성 무정자증(Obstructive Azoospermia)으로, 정자의 생성은 정상이나 정자가 정액으로 배출되지 않는 경우이다. 이 경우, 정자의 생성에 필요한 고환의 기능은 문제가 없지만, 정자를 운반하는 길에 물리적인 장애나 문제가 있는 경우이며, 선천적 원인이나 감염, 외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두 번째는 비동원성 무정자증(Non-obstructive Azoospermia)으로, 이 경우는 고환에서 정자가 생성되지 않거나 생성이 적은 경우이다. 이 원인은 유전적 이상, 호르몬 불균형, 고환 손상, 또는 특정 질환(예: 크롬화 관련 질환, 고환암 등)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무정자증의 진단은 일반적으로 정액 검사, 호르몬 검사, 유전자 검사, 고환 생검 등을 통해 진행된다. 정액 검사를 통해 정자 수를 확인하므로, 무정자증이 의심되는 경우 반드시 검사해야 한다.

치료 방법은 무정자증의 유형과 원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동원성 무정자증의 경우 수술적 방법으로 장애를 제거할 수 있다. 비동원성 무정자증의 경우는 호르몬 치료, 정자 채취 및 인공 수정 등의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처럼 무정자증은 다양한 원인에 따라 나타나므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