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도나도(말도난도)는 한국 전통 무가에서 유래된 희망과 기원을 담고 있는 소리와 노래로, 주로 농업과 관련된 이야기를 다루며, 사람들의 정서와 삶의 모습을 표현한다. 말도나도는 주로 경북, 전라도, 충청도 지역에서 유행하였으며, 그 지역의 특색을 지닌 구술 문학의 한 형태로 평가받는다.
말도나도는 주로 악기 없이 주창되어지며, 사람들의 일상생활이나 자연 현상, 인간관계 등을 주제로 한다. 특히, 농사와 관련된 내용이 많아 농민들이 자연의 변화나 농작물의 성장 등을 바라보며 부르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곡조는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일반적으로는 경쾌하고 리드미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노래는 구술 전통으로 전해져 오면서 대중의 감정이나 소망을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말도나도는 공동체의 의식을 강화시키며, 소속감을 느끼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러한 곡들이 향후 무용이나 다른 예술 장르와 융합되면서 현대적인 해석으로 재탄생하기도 하였다.
말도나도는 다양한 기록과 연구를 통해 그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으며, 현대에서도 그 전통을 이어가려는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노래는 한국의 문화유산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한국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