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오점수(頓悟漸修)는 불교에서 주로 언급되는 개념으로, 깨달음과 수행의 과정을 설명하는 용어이다. '돈오'는 갑작스러운 깨달음을 의미하고, '점수'는 점진적인 수행을 의미한다. 이 두 가지 개념은 불교의 깨달음에 대한 두 가지 경로를 나타낸다.
돈오는 순간적인 깨달음으로, 참된 진리를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이는 많은 경우 스승의 가르침이나 우연한 체험을 통해 이루어지며, 특정한 시점에서 개인이 진리를 깨닫는 것을 의미한다. 도가의 '돈오' 개념과 유사하게, 불교에서도 이러한 깨달음은 이상적인 목표로 여겨진다.
반면, 점수는 수행을 통해 천천히 진리를 이해하고, 마음을 닦아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수행은 명상, 경전 독서, 윤리적 생활 등을 포함하여, 끈기와 인내로 발전해 나가는 과정을 강조한다. 점수 수행은 일반적으로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며, 개인의 성장과 성숙을 통해 이루어진다.
돈오점수는 불교 수행자에게 있어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설명하는 중요한 원리로, 많은 스승들이 이 두 개념을 결합해 언급하고, 깨달음의 다면적인 성격을 강조한다. 깨달음의 순간적인 경험과 그 이후의 지속적인 수행은 서로 보완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이를 통해 더 깊은 이해와 경험으로 나아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