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읍(祿邑)은 고대 한국의 지방 제도 및 행정 단위 중 하나로, 주로 고구려와 신라에서 운영되었다. 녹읍은 중앙 정부에서 관리하는 지역으로, 특정한 관리나 귀족에게 해당 지역의 세입과 행정 권한을 부여하는 형태로 운영되었다. 이러한 제도는 귀족이나 고위 관리에게 지위에 비례하여 일정한 수익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다.
녹읍의 주요 특징은 정치적, 경제적 권한이 집중된 지역에서 세금을 징수하고, 해당 지역의 주민들에게 일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었다. 녹읍은 종종 특정한 지역의 경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 지역 안에 사는 주민들은 귀족이나 관리에게 세금을 납부하고, 사회적 의무를 이행해야 했다.
녹읍 제도는 귀족 중심의 사회 구조를 강화시키는 요인이었으며, 중앙 정부가 지방을 통치하고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기능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귀족들의 권한이 커지고, 중앙 정부의 통제력이 약해지면서 녹읍의 기능과 의미는 변화하게 되었다. 녹읍은 결국 고려 시대에서 지방 행정 구역의 변화와 함께 사라지게 되었고, 그 후의 행정 체계는 다른 형태로 발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