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계복(南溪服)은 한국 전통의상 중 하나로, 주로 여성들이 착용하는 복장 형태이다. 남계복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복식을 바탕으로 하여 발전하였으며, 현재는 민속 의상으로서 특별한 행사나 전통문화 체험 등에서 사용된다.
남계복은 일반적으로 풀이나 꽃과 같은 자연 요소를 모티프로 한 다양한 패턴과 색상이 특징이다. 보통 위에 착용하는 '저고리'와 아래에 착용하는 '치마'로 구성되며, 저고리는 소매가 긴 형태로, 단추 대신 리본으로 묶는 경우가 많다. 치마는 풍성하게 내려앉아 있는 형태로, 움직임에 따라 부드럽게 퍼지는 특징이 있다.
특히 남계복은 고온 다습한 여름철에 적합하도록 제작된 경량의 천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일반적으로 면이나 리넨과 같은 자연 섬유가 사용된다. 이러한 소재는 통기성이 좋고 착용감이 우수하여 여름철의 더위 속에서도 쾌적함을 유지해준다.
남계복은 특히 결혼식, 명절, 전통 공연 등의 특별한 행사에서 종종 착용되며, 현대에는 패션 아이템으로도 재해석되는 경우가 많다. 전통적 의미를 보존하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을 더한 디자인이 등장하고 있어, 다양한 연령층과 취향을 반영하는 복장으로 자리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