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희는 한국의 전통 예술 중 하나로, 주로 춤과 음악을 결합한 형태의 공연을 일컫는다. 난희는 고려시대부터 시작되어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발전해왔으며, 궁중에서의 공연과 민속적인 축제에서 인기를 끌었다. 이 예술 형식은 일반적으로 기쁨과 즐거움을 표현하기 위해 특정한 주제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형식의 춤과 노래, 그리고 악기 연주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난희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그 공연이 민속적 요소를 강조한다는 점이다. 전통 의상인 한복을 착용하고, 전통 악기인 가야금, 해금, 풍물 등의 연주가 함께 진행된다. 이러한 민속적 요소는 난희의 매력을 더하며,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난희는 단순히 관람하는 것이 아니라 관객이 공연에 참여하거나, 함께 느끼고 즐길 수 있는 축제의 일환으로 기능한다.
난희의 대표적인 공연은 촛불을 들고 춤추는 '등불춤'과 같은 다양한 춤들이 포함된다. 이러한 춤들은 각기 다른 의미를 담고 있으며, 축제와 관련된 신화나 전설을 바탕으로 한 경우가 많다. 난희에서 다루는 주제는 대개 자연과 계절, 농사, 사랑 등 일상적인 요소들이며, 이러한 요소들은 관객에게 친숙함과 감동을 준다.
현재 난희는 전통예술의 보존과 발전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여러 공연단체에 의해 계승되고 있다. 현대적 감각을 추가하여 새롭게 재해석된 난희는 다양한 무대에서 공연되고 있으며, 국내외 관객들에게 그 매력을 알리고 있다. 난희는 한민족의 정체성을 담고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계승되어야 할 예술 형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