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희(1786-1856)는 조선 후기의 뛰어난 서예가이자 화가, 학자이며, 특히 한글과 한자를 자유자재로 구사한 인물이다. 본관은 해주이고, 자는 춘원, 호는 추사이다. 그는 서예 분야에서 '추사체'로 알려진 독창적인 글씨체를 창안하여 조선 서예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김정희는 일찍이 서예를 배우고 여러 명인에게 사사를 받았다. 그의 글씨는 선묘와 필력이 뛰어나며, 규범을 따르면서도 개인의 독창성을 잘 표현했다. 추사체는 간결하면서도 힘찬 느낌을 주며, 글자의 형태가 유려하여 후세의 많은 서예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는 또한 풍경화와 산수화에서 탁월한 실력을 보였으며, 그의 그림은 자연을 정교하게 묘사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대표작으로는 '추사풍경' 등이 있으며, 이 작품들은 그의 예술적 감각과 철학을 잘 드러낸다.
김정희는 학문에도 깊은 관심을 가졌으며, 유학과 불교, 도교 등의 다양한 사상을 연구하였다. 그는 '추사선생문집'을 집필하였으며, 이는 그의 학문적 업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생애는 정치적인 혼란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예술과 학문에 열정을 쏟았으며,오늘날 그의 영향은 한국 서예와 예술 전반에 걸쳐 널리 퍼져 있다. 1860년대 이후 그의 작품은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고 있으며, 현재는 한국 서예의 거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