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격식(禁格式)은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예법이나 의례를 존중하고 엄격하게 지키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는 주로 유교적 가치관에 기초하여 형성되었으며, 사회의 질서와 계층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김격식은 사람들의 행동, 언어, 의복, 음식 등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에 적용되었다.
김격식의 예는 성년식, 장례식, 혼례식 등과 같은 중요한 의례에서 두드러지며, 이들 의식은 각 계층에 따른 절차와 복장을 엄격히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혼례식에서는 신랑과 신부가 착용해야 할 의복의 종류와 색깔, 참석자의 복장 규정 등이 명확히 정해져 있다. 이러한 예식의 규범은 가족과 사회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공동체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
또한, 김격식은 일상생활에서도 중요하게 여겨졌다. 예를 들어, 상위 계층의 사람과 하위 계층의 사람 간의 대화에서는 항상 존댓말을 사용해야 하며, 그에 따른 행동도 다르게 요구되었다. 이러한 규범은 상호 존중의 기반이 되었고, 사회적 위계를 명확히 하였다.
김격식은 조선 후기에는 더 강화되었고, 당시의 문학, 미술, 철학 등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근현대에 이르러 이러한 전통은 점차 약화되었고,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문화적 가치와 함께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격식의 유산은 한국 문화의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 있으며, 전통 의례와 예절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기초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