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형아는 태어나면서 신체 구조나 기능에 이상이 있는 아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이상은 유전적 요인, 임신 중 환경적 요인, 약물 노출, 외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기형은 주로 태아 발달 과정에서 발생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신체적 결함은 외부에서 쉽게 보이는 경우도 있고, 내부 장기나 기능에 관련된 경우도 있다.
기형아의 종류는 다양하며, 예를 들어 선천성 심장병, 뇌 및 척추의 기형, 팔과 다리의 기형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기형은 단독으로 발생할 수도 있지만, 여러 기형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를 기형증후군이라고 한다. 가장 잘 알려진 기형증후군 중 하나는 다운증후군이다.
기형아의 진단은 임신 초기의 초음파 검사 및 혈액 검사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검사는 기형의 조기 발견과 적절한 관리로 이어질 수 있다. 기형아의 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임신 전 및 임신 중 건강 관리가 중요하다. 적절한 영양 섭취, 금연, 음주 절제, 유전 상담 등이 추천된다. 기형아의 치료 및 관리 방법은 기형의 종류와 정도에 따라 다르며, 필요에 따라 수술이나 재활 치료 등이 시행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