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기(禁忌)는 특정한 행동이나 말, 대상 등이 사회적으로나 문화적으로 금지되거나 피해야 할 것으로 여겨지는 것을 의미한다. 금기는 주로 종교적, 도덕적, 또는 전통적인 이유로 발생하며, 이러한 규범은 특정 집단이나 사회에서 널리 수용된다. 금기는 주로 세 가지 형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종교적 금기. 종교적 금기는 신성한 것과 불경한 것을 구별하는 데 기반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특정 음식의 섭취가 금지되거나, 특정 행동이 신에게 불이익을 가져온다고 믿어지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슬람에서의 할랄과 하람, 유대교의 코셔가 대표적인 사례다.
둘째, 사회적 금기. 사회적 금기는 특정 행동이 사회적으로 부적절하다고 여겨지는 규범으로, 문화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결혼하지 않은 남녀의 신체 접촉이나, 특정한 대화 주제가 금기시될 수 있다. 이러한 금기는 사회의 윤리를 반영하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기도 한다.
셋째, 개인적 금기. 개인적인 경험이나 신념에 기반한 금기로, 특정한 상황이나 대인 관계에서 개인이 느끼는 불편함이나 두려움으로 인해 특정 행동이나 대화를 피하고자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금기는 개인의 심리적 안정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금기는 인류 문화의 중요한 부분으로, 사람들의 행동을 규제하고 질서를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하지만 금기가 지나치게 엄격하게 적용되면 개인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으며, 사회의 다양한 의견이나 문화적 다양성을 저해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