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역법(均役法)은 조선 시대에 사용된 세금 제도의 하나로, 토지에서 발생하는 수익에 따라 그 지역 주민들에게 공평하게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는 조선의 정치적, 경제적 환경을 반영하여 시행되었으며, 국가의 재정을 안정시키고 농민들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다.
균역법의 기본 원리는 각 지역의 농민들이 생산하는 곡물이나 농산물의 양에 기준하여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확이 풍성한 해에는 세금을 더 많이 부과하고, 반대로 가난한 해에는 세금을 줄이는 등의 유연한 정책이 적용되었다. 이는 농민들이 극심한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하고, 지역 간 세금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균역법은 1790년대에 공식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이전의 다수의 세금 제도를 통합하여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다. 이를 통해 국가의 재정 수입을 증가시키고, 각 지역의 경제 발전을 도모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실제 시행 과정에서는 농민들의 불만과 저항이 있었고, 세금 징수에 대한 부정과 비리도 잇따랐다.
결국 균역법은 시간을 두고 변화와 개선을 거치며 조선의 재정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쳤고, 19세기 중반에는 농촌 사회의 변화와 함께 그 효용성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이 제도는 한국의 세금 제도 발전사에 중요한 기초가 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세금 제도의 기초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