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야자는 한국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학명은 "Dipsacus asper"이다. 두 번째 이름은 "'엉겅퀴'"로, 보통 생약으로 사용된다. 구야자는 1미터에서 2미터 정도 자라는 다년생 초본으로, 뿌리는 굵고 길며, 잎은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잎은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톱니 모양이다.
주로 여름철에 꽃을 피우는데, 꽃은 보라색 또는 흰색으로 가지에 모여서 피어난다. 구야자의 꽃은 벌이나 나비와 같은 곤충을 유인하는 역할을 한다. 꽃가루와 꿀을 제공하여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야자는 전통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되며, 주로 면역력 강화, 염증 완화, 통증 경감 등을 목적으로 활용된다. 구야자의 뿌리는 특히 건강 보조 식품으로 인기가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소비된다.
생육 환경은 일반적으로 햇볕이 잘 드는 곳이나 반그늘에서도 자생할 수 있으며, 토양은 배수가 잘 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구야자는 경량성 토양에서 잘 자라며, 자주 물빠짐이 좋은 곳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구야자는 자생 식물로도 중요하게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