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사회(九社회)는 한국의 전통적인 사회 구조 중 하나로, 주로 조선시대에 형성된 공동체 형태를 의미한다. 이 개념은 '구'라는 숫자와 '사회'라는 단어가 결합되어 만들어졌으며, 일반적으로 아홉 집단이 모여 형성된 공동체를 뜻한다. 구사회는 지역 사회 내에서의 상호 협력과 지원을 통해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며, 주민들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구사회는 생계 유지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문제 해결에도 기여하였다. 예를 들어, 공동의 농사일을 도맡거나, 큰 행사를 기획하여 주민들이 함께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형식이었다. 또한, 병자나 사고를 당한 사람들을 위해 기금을 모으거나, 도움을 주는 등의 활동도 일상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지역 사회의 결속력이 강화되고, 주민들 간의 친밀도가 높아졌다.
구사회의 운영 방식은 지역적 특성과 문화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기본적으로 공동의 의사결정을 통해 중요한 사안을 처리하는 방식을 취했다. 일반적으로 각 집단에서 대표가 선출되어 회의를 통해 공동의 이익을 도모하고, 필요한 의사 결정 사항을 처리했다. 이 과정에서 주민들의 의견과 요구가 반영되는 경향이 강해, 민주적인 참여가 강조되기도 했다.
오늘날 구사회는 전통적인 공동체의 형태로서 그 의미가 변형되었지만, 여전히 지역 사회의 협력과 협업의 중요성을 상징하는 개념으로 남아 있다. 현대 사회에서도 지역 주민들이 모여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고 상호 지원하는 활동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구사회의 사상에서 기원한다고 볼 수 있다. 구사회는 한국 사회의 역사와 함께 성장해온 중요한 문화적 요소로, 지역 공동체의 안정성과 연대감 형성에 기여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