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복

관복은 조선시대 관리들이 공식적인 자리에서 입던 옷이다. 관리의 품계와 직급에 따라 복식의 형태와 색상이 달랐다.

관복의 기본 구성은 상의인 단령(團領)과 하의인 상(裳)으로 이루어졌다. 단령은 둥근 깃이 특징이며, 품계에 따라 홍색, 청색, 녹색 등으로 구분되었다.

품대는 관리의 지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로, 재질과 장식에 따라 등급이 달랐다. 높은 품계의 관리는 옥이나 금으로 만든 품대를, 낮은 품계의 관리는 가죽으로 만든 품대를 착용했다.

관모는 관복의 일부로, 대표적으로 사모(紗帽)가 있다. 사모는 말총으로 만든 모자로, 양 날개가 특징이다.

흉배는 관복의 가슴과 등에 부착된 장식물로, 문관은 동물 문양을, 무관은 동물 문양을 수놓아 품계를 나타냈다.

조선 후기에는 간소화된 형태의 관복인 공복(公服)이 일상적으로 사용되었다.

관복 제도는 신분 질서와 관료 체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이었으며, 조선의 유교적 질서를 반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