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수교차로

계수교차로는 교차로의 일종으로, 여러 도로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교통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된 교차로를 의미한다. 계수교차로는 보통 신호등이나 과속방지턱, 회전교차로 등의 형태로 교통 흐름을 관리하며, 차량, 보행자, 자전거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의 안전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계수교차로는 일반적으로 교차하는 도로의 수에 따라 2차선, 4차선, 또는 그 이상의 차선으로 나뉘며, 각 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양과 속도, 보행자의 통행 패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교차로는 보행자 전용 신호와 차량 신호가 구분되어 있으며,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을 위한 시설이 함께 마련된다.

계수교차로의 주요 목적은 교통 사고를 줄이고 교통 체증을 완화하며, 각 도로의 연결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차로는 도시 내에서뿐만 아니라 교외 지역이나 고속도로와 같은 주요 도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교차로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교차로의 규모, 차량 흐름, 보행자 안전, 주변 환경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최적의 교통 체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