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달은 주로 한국의 전통 음악이나 민속에서 나타나는 개념으로, 의식이나 축제 등에서 행해지는 노래 또는 춤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특히 농경 사회에서 중요한 의례와 관련이 깊으며, 풍년을 기원하거나 액운을 쫓는 데 사용된다. 간달은 주로 공동체의 단결과 화합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며, 특정한 전통 의상이나 악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간달의 대표적인 형태로는 강릉단오제에서의 단오 노래, 강원도의 농악에서의 진도 척척이 등이 있으며, 이러한 공연은 그 지역의 특성과 문화적 배경을 반영한다. 간달은 대개 구술이나 구리에 의해 전파되어 왔으며, 현재에도 민속 문화의 행사나 축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간달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함께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이로 인해 공동체의 유대감과 연대감이 강화된다. 최근에는 현대적 해석이나 창작을 가미한 다양한 형태의 간달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전통 문화를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간달은 한국 민속 문화의 중요한 요소로, 지역 사회의 정체성과 전통을 형성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