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주의는 가족의 가치와 중요성을 강조하고,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와 의무를 중시하는 사회적 혹은 문화적 태도 또는 이념이다. 이는 개인의 정체성과 삶의 목표가 가족의 안녕과 연관되어 있다고 보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가족주의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아시아, 중동, 라틴 아메리카 등 일부 문화권에서 두드러진다.
가족주의의 핵심 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간의 책임과 의무가 강조된다. 가족 구성원은 서로를 지원하고 돌보는 의무가 있으며, 특히 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가 중요하다. 둘째, 가족의 결정 및 가치가 개인의 선택에 우선시된다. 즉, 개인의 행동이나 결정을 내릴 때 가족의 의견이나 전통이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가족의 단결과 공동체 의식이 강조된다. 가족은 서로 간의 연대감을 바탕으로 사회적 지지망으로 기능하며, 위기 상황에서도 함께 대처하는 경향이 있다.
가족주의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지닌다. 긍정적으로는 가족 간의 지지 체계가 튼튼해지고, 정서적 안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개인의 자유와 자율성이 제한될 수 있으며, 가족 내에서의 갈등이나 압박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가족주의는 현대 사회의 변화와 함께 그 형태나 의미가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다.